좋은 글. 시

무능역자들의 넉두리

들녁나그네 2009. 9. 22. 10:34

 

 

 진보/보수를 싸잡아 비난하자거나 그런 이념적 지향이 무의미하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공인' 정운찬은 진보도 보수도 표방하지 못하는, 권력욕에 사로잡힌 아마추어 정치인에 불과하다. 그가 총리직에 낚여서 허우적대다가 덜컥 노출시켜 버린 '있는 사람' 일반의 도덕과 품위와 교양과 상식의 부재함을 주목하고 싶은 것이다. 자기만족과 합리화일지언정 '보헤미안(히피)'의 감수성을 가진 '부르조아'라는 '보보스(BOBOS)'족의 출현조차 이 나라에선 가능할 법하지가 않다.

 

그가 MB에 대항하지 않고 투항해 버린 것이 유감이었다. 이제는 차라리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대체 이런 상식적이고 기본적인 기준조차 충족시키는 사람도 찾기 힘들다니, 기껏 그런 사람이 유력한 대항마로 거론되었었다니 더욱 암담하다. 진부하지만 '노블리스 오블리제'라는 최소한의 책임감조차 갖지 못한 그들, 최소한 지금 위세부리는 '능력자'들 맞은 편에는 그들보다는 나은 도덕과 품위와 상식을 가진 '능력자'들이 포진하고 있기를 바랬는데.

 

기득권층, 사회지배층, 상위계층, 지배계급, 사회지도층, 뭐라 불리던 그야말로 '그들만의 리그'다. '비능력자'로서는, 거기에 관심을 끊어버리고 '니들끼리 놀아라' 해버리던가,....다른 어떤 길이 있을까. 일부 '비능력자'이면서 용케 제도권 정치 내에서 버티고 있는 사람들이 있긴 하지만, 이명박의 지지율이 40%를 넘는 세상이다. 이명박을 무난히 집권시킨 세상이다.

 

사실, '능력자'를 힐난하고 그들의 비상식, 부도덕을 지적하면서도 흘깃대며 그들의 '성취'를 부러워하고 '병역면제'니 '위장전입'이니 그들의 경력을 어쨌던 "능력"이라 지칭하는 내 안의 시기심, 질투, 전도된 가치관부터 문제일지 모른다. 기득권층은 제 혼자 성립되지도, 유지되지도 못한다. 그곳에 편입되기를 열망하고 해바라기하는 사람들이 떠받치고 있는 거다. 기득권층의 문제란 건, 잠재적 기득권층, 언젠가 기득권층이 될 거라 믿는 사람들의 문제기도 해서, 결국 우리 모두의 욕망과 그 해소의 문제라고 해도 억지는 아닐 거다.

 

"결국 니가 배아파서 그런 거잖아"란 그들의 비웃음에 뜨끔할 수 밖에 없다. 그럴 수 밖에 없지만, 그렇다고 도덕적 순결주의나 '남의 티를 찾기 전에 자신 눈안의 들보를 찾아라' 따위 가르침을 따르고 싶진 않다. 난 어쨌든 "비능력자", "능력자"들보고 니들 좀 똑바로 해라 십장생 개나리들아. 라고 이야기할 거다. 다행히 나이먹는 것과는 달라서, 시간이 지난다고 자연스럽게 '기득권'을 갖게 되는 건 아니니까. 갈수록 이 사회에서 '계층'은 '계급'이 되고 마니까. 

'좋은 글.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예로 살고자 경쟁하는 ..   (0) 2010.07.16
하워드 진  (0) 2010.02.05
여명의 눈동자  (0) 2009.08.12
한국의 아버지  (0) 2009.05.19
장하준특강-신자유주의 비판  (0) 2009.04.07